사회과학 업로드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업로드 HR
- drafts235
- 2021년 1월 1일
- 3분 분량
사회과학 업로드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업로드
사회과학 업로드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사회과학]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목차』
ⅰ.서론
ⅱ.625전쟁
1. 발생원인 및 전개과정
①625전쟁의 발생원인(배경)
②625전쟁의 전개 과정
③625전쟁 속 우리 민족의 삶
2. 625전쟁 속 우리 할머니의 삶
ⅲ.전쟁 후
1.전쟁 후 우리나라의 상황
2.전쟁 후 우리가족의 상황
ⅳ.결론
ⅴ.참고문헌
ⅰ.서론
나는 평소 역사에 대해 관심이 없었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국근현대사 강의를 수강했다. 처음 과제를 받았을 때 우리가족이 역사적 사건과 무슨 연관이 있을까 부터 고민을 했다. 나는 우리가족과 역사는 거의 관련이 없을 거라 생각해왔다. 부모님께 여쭈어봤지만 역시나 역사적 사건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고 하셨다. 그러나 외할머니께서 6.25를 겪으셨다고 말씀 하셨다. 나는 6.25전쟁에 대해서 단지 북한의 남침이라는...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목차』
ⅰ.서론
ⅱ.625전쟁
1. 발생원인 및 전개과정
①625전쟁의 발생원인(배경)
②625전쟁의 전개 과정
③625전쟁 속 우리 민족의 삶
2. 625전쟁 속 우리 할머니의 삶
ⅲ.전쟁 후
1.전쟁 후 우리나라의 상황
2.전쟁 후 우리가족의 상황
ⅳ.결론
ⅴ.참고문헌
ⅰ.서론
나는 평소 역사에 대해 관심이 없었지만 이번 강의를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국근현대사 강의를 수강했다. 처음 과제를 받았을 때 우리가족이 역사적 사건과 무슨 연관이 있을까 부터 고민을 했다. 나는 우리가족과 역사는 거의 관련이 없을 거라 생각해왔다. 부모님께 여쭈어봤지만 역시나 역사적 사건과는 거의 관련이 없다고 하셨다. 그러나 외할머니께서 6.25를 겪으셨다고 말씀 하셨다. 나는 6.25전쟁에 대해서 단지 북한의 남침이라는 것밖에 몰랐다. 이 이야기를 듣고 나는 6.25전쟁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고 전쟁당시 시절로 돌아가 그때의 상황을 느껴 보고자했다. 마침 과제가 있은 후 할머니께서 집으로 찾아오셨다. 할머니는 1936년 생으로 6.25 을 15살 때 겪으셨다고 한다.
할머니에게 6.25전쟁 때의 상황에 대해 물어보았다. 할머니는 황해도1)연백에서 태어나 쭉 거기서 살아오셨다. 할머니의 말씀으로는 농사를 지어서 창고에 쌀이 많이 있었다고 하셨고 또한 연백은 교동까지 거리가 얼마 되지 않아 나룻배를 타고 자주 왕래를 했다고 하셨다. 나는 이번 보고서를 할머니께서 말씀해주신 것들을 바탕으로 6.25전쟁에 관해 쓸 것이다.
ⅱ.625전쟁
1.발생원인 및 전개과정
①625전쟁의 발생원인(배경)
일제강점기 중 우리나라의 운명이 바뀌기 시작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이었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진행 중이던 1943년 11월 27일 미국영국중국 등 3개국 정상이 참석한 카이로 회담에서 우리나라는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약속받게 된다. 하지만 일본군 무장해제 등 전후처리를 명목으로 북위38°선을 경계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국이 주둔하게 된다.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 세력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공산주의 세력이 대치되어 양극체제로 팽팽한 힘겨루기를 하게 된다. 그들 간의 심각한 이념대립 양상은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당시 미국은 38선을 일본군 무장해제 등 전후처리를 위한 잠정적 경계로 생각했으나 소련은 38선을 영구적 경계로 만들어 38선을 기준으로 공산주의화 하려했다. 계획대로 소련은 남북 간 왕래와 일체의 통신연락을 단절시키고 통일정부수립을 거부함으로써 한반도의 반영구적 정치적 분단을 강요했다. 한반도 통일을 시도했던 미국도 소련과의 합의에 빈번히 실패하자 단일정부수립 이라는 성급한 정책으로 방향을 틀어버린다. 결국 1928년 5월 10일 38선 이남 지역에서는 UN감시 하에 자유 총선거가 실시돼 제헌국회가 구성 되었으며, 북한 지역에서는 1948년 9월 9일 이른바 흑백선거에 의해 독자적 공산정권인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이 들어서게 된다.
이후 남북 간 대립은 더욱 격화되었고 북한 여러 차례 남한에 무장공비를 침투시키는 등 도발을 계속했지만 별다른 실효를 거두지 못하자 최종 수단으로 전면적 남침을 결심하게 된다. 북한 전쟁을 결심하게 된 데는 소련의 막대한 군사적 원조도 한 몫 하게 된다. 소련은 북한에 진주한 직후부터 조선인민군을 창설하는 등 군사력을 양성하고 군 장비를 지원하는 등 전쟁을 준비해갔다.
북한의 막대한 군사력에 비해 남한의 군사력은 형편없었다. 게다가 1948년부터 시작된 미군철수로 한반도 내의 남북 간 군사력 균형은 급속히 무너지게 된다. 여기에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 정세도 북한에 유리하게 돌아가는 듯 한 외교적 사건이 잇따른다. 북한의 남침 의도에 불을 붓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②625전쟁의 전개 과정
6.25전쟁 발발 하루 전 1950년 6월 24일 북한의 대규모 병력에 38선에 집결했다는 보고가 있었음에도 군 수뇌부는 비상경계를 해제했고, 마침 주말을 맞아 절반에 해당하는 병력이 외출했다. 전방부대 사단장을 포함한 장교들도 이날 저녁 파티에 취해있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경 북한은 38선을 넘어 남한을 침범했다.
서울이 함락되는데 걸린 시간은 불과3일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라디오 연설을 통해 서울 시민들에게 정부를 믿고 동요하지 말라고 안심시켰지만, 자신은 특별열차를 타고 대전으로 피신했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에서는 한반도의 군대 파견 결의를 했다. 6월 28일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했다. 서울시민들은 상황을 전혀 모르고 있다가 북한군이 미아리 고개까지 쳐들어오자 비로소 대피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정부가 북한군의 한강이남 진격을 우려해 하나뿐인 한강 철교를 폭파하면서 대피도 불가능해졌다. 서울시민144만 6천여 명 가운데 서울이 북한군에게 점령당하기 전 빠져나간 사람은 40만 명뿐 이었다. 6월 29일 미국폭격기 B29가 평양을 최초 폭격하였다. 이후 북한군의 한강이남 진격을 우려하여 한강철교를 폭파했음에도 북한군은 서울을 넘어 부산, 포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을 점령하게 되었다. 한편 정부는 전쟁이 일어나자 미국에 파병을 요청했고 미국은 UN안보리를 열어 한국 문제를 건의했고 UN안보리는 맥아더를 유엔군 총사령관에 임명하였고 결의문 채택을 통해 북한에 남한 땅에서의 즉각 철수를 권고하게 된다. 그러나 북한이 이에 응하지 않고 미국은 영국 프랑스 콜롬비아 터키 등을 비롯해 16개 회원국이 UN군을 조직해 6.25전쟁에 참전한다. UN군 참전 초반에는 국지전에서 북한군이 밀리는 등 패전을 거듭했지만 9월 15일 맥아더 장군의 진두지휘 하에 인천상륙작전이 성공함으로써 전세는 역전되었다. 한국군은 서울을 빼앗긴지 3개월만인 9월 28일 서울을 되찾았고 계속 북진해 10월26일 압록강 11월 두만강 일대까지 진격했다. 하지만 중국은 미국이 북한을 이기고 나면 중국을 공격할 것이라는 생각에 북한을 지원하게 되었고 2)인해
[문서정보]
문서분량 : 8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사회과학 업로드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파일이름 : [사회과학]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hwp
키워드 : 사회과학,한국,근현대사를,통해보,나,가족사,우리,할머니,잠재워지지,않
자료No(pk) : 1504053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