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정보화 동향과 남북 교류 방안 업로드 PT
- drafts235
- 2020년 12월 31일
- 2분 분량
북한의 정보화 동향과 남북 교류 방안 업로드
북한의 정보화 동향과 남북 교류 방안
I. 서 론 구소련 및 동구권의 몰락과 중국의 개방 정책 채택으로 동서간 이념의 벽이 무너짐과 함께 냉전 시대가 종료된 지도 오래되었...
I. 서 론
구소련 및 동구권의 몰락과 중국의 개방 정책 채택으로 동서간 이념의 벽이 무너짐과 함께 냉전 시대가 종료된 지도 오래되었다. 바야흐로 세계 각국은 APEC, EU. NAFTA 등을 통한 서로의 협력 시대를 형성했으며 21세기 정보화, 세계화 및 개방화 시대에 대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특히 Internet의 급진적인 확산은 국경을 초월하고 시간의 격차 없이 정보를 유통시킴으로써 개방화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힘입어 언젠가는 북한의 굳게 닫힌 문이 열리게 될 것이며 우리 7천만 민족의 염원인 평화적 남북 통일이 성취될 날도 멀지 않은 것 같다.
1994년부터 3년간 계속 중국 연변에서 있었던 `Korean 컴퓨터 처리 국제학술대회`에는 매년 20명 내외의 북한 학자가 참석하여 화기애애한 가운데 진지한 학술 토론을 전개했으며, 금년에 이르러 남북 및 중국 대표단간에 정보처리 용어 통일안, 자판 배치 공동안, 우리글자 배열순서 공동안 및 부호계 공동안에 합의를 보게 된 것은 앞으로의 남북한 학술 교류에 있어 매우 고무적인 하나의 이정표가 되었다고 보겠다.
그러나 아직도 편지마저 왕래가 안되는 북한의 내부 사정, 특히 정보 기술 같은 최신 첨단 기술에 관한 자료를 얻는다는 것은 매우 힘든 일로서 통일에 대비한 기반 조성 구축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앞으로 다가 올 정보화 시대를 고려할 때 북한의 정보화 동향에 관하여 우리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되리라 본다. 독일은 통일 전에 과학기술 면에서 동서간에 많은 교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통일 후 통신분야 기술의 격차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에 대한 사전 준비가 부족했던 것을 후회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독일의 경험을 거울 삼아 남북간 정보 기술 분야 현황을 미리 파악하고 기술 격차에서 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6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북한의 정보화 동향과 남북 교류 방안
파일이름 : 북한의 정보화 동향과 남북 교류 방안.hwp
키워드 : 북한의,정보화,동향과,남북,교류,방안
자료No(pk) : 1601683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