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명청시대소송지구시장개설과 상품유통강 DownLoad QJ

  • drafts235
  • 2020년 12월 31일
  • 1분 분량

명청시대소송지구시장개설과 상품유통강 DownLoad




명청시대소송지구시장개설과 상품유통강


이점을 좀더 부연 설명하면, 생산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하면서 사회전반의 활력을 증대시키려면 현수 준의 말하자면 현속진이라는 도시적 시진이 많...


이점을 좀더 부연 설명하면, 생산제품을 원활하게 공급하면서 사회전반의 활력을 증대시키려면 현수

준의 말하자면 현속진이라는 도시적 시진이 많이 성장해야 한다. 동시에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촌

진이나 향진의 발달을 도태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이런 현상은 일어나지 않

았고 거의 똑같은 수준에서 다만 규모만 조금씩 크다고 하는 식의 촌진·향진·현속진이 있었을 뿐이

다. 때문에 현속진에서 집산되었던 생산물이 바로 이웃에 있는 촌락들로부터 공급될 수 있었던 점도 바

로 이런 까닭이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시진에 대한 개념이 경제논리에 의해 이론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다하더라도 이를 현실적 상

황에 적용시킬 때는 좀더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시진의 개념을 상품의 집산

중심지이고 각지의 객상이 들어와 교역을 하며 농촌과 도시를 연계시켜 주며 시장과 시장사이를 연결

시키며 지역시장과 전국시장을 연결하고 농촌의 농산물과 시진작방의 생산제품들이 시진을 통해서 각

지역으로 판매되어 가는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명대의 이갑체제가 해체되기 이

전에는 촌의 결합이 이갑제의 범위를 넘지 못했던 것 같으나 명중기 이후가 되면서 점차 주변의 지역

에까지 범위를 확대시켜 나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국의 시진도 역시 도시화로 발전되어 가게 될터

이지만 그러나 도시화의 기층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은 다름아닌 주변에 놓여져 있었던 촌락 내지는 촌

집시의 지원에 의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고 하겠다.

이같은 상황위에서 중국의 촌락과 시진간의 유통망을 잠시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오강현의 진택진을

예로 삼아 설명해 보면 진택진은 앞서 본바대로 잠사집산의 중심시장으로서 전업시진이며 동시에 농업

부생산품 또는 미 또는 수공업공산품의 집산지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진택진 역시 집산지로서 성장되어

간 배경에는 유통망의 촌집시―촌진―향진―현속진의 계층적 유통구조를 통하여 발전되어 형성된 것은

아니었다. 계층적 유통구조를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실제의 각 시진의 성장은 주변의

얼마나 많은 촌락들이 향각으로서 시진과 연결되어 있는가에 따라서 발전했던 것이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4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명청시대소송지구시장개설과 상품유통강

파일이름 : 명청시대소송지구시장개설과 상품유통강.hwp

키워드 : 명청시대소송지구시장개설과,상품유통강

자료No(pk) : 16053278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보고서 PB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보고서 문서파일 (열기).zip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1. 들어가며 흔히 유통산업을 입지산업이라고 한다....

 
 
 

Comments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drafts235.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