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면역 업로드 TS

  • drafts235
  • 2020년 12월 31일
  • 2분 분량

면역 업로드




면역


면역학 정리 자료입니다. 면역, 항원과 항체, 항체의 구조와 항원과 항체결합 및 B 임프구의 발생과 항체 생산, 항체 유전자의 재배열과 돌연변이


1. 면역개요

2. 항원과 항체

3. 항체의 구조

4. 항원과 항체의 결합

5. B 임프구의 발생과 항체 생산

6. 항체 유전자의 재배열과 돌연변이

10. 끝내는 말 임프구를 도와 면역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 나도롤 도와주는 세포 통틀어 보조세포라고 하는 데, 여기에는 대식세포 (macrophage), 과립구 (granulocytes), 수지상세포 (dendritic cell), 비만세포 (mast cell) 등이 포함된다. 임프조직에서는 이러한 면역세포들간의 상호작용이 유기적으로 일어나 효과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곳이며, 또한 각종 백혈구들이 분화성숙되는 곳이기도 하다. 임프구가 항원과 반응하여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임프조직에는 임프절 (lymph node)과 비장 (spleen)이 있으며, 임프구나 다른 백혈구의 분화성숙이 일어나는 조직에는 골수 (bone marrow)와 흉선 (thymus)이 있다. 면역세포는 언제나 임프조직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고, 수시로 임프조직에서 나와 임프나 혈관을 따라 몸전체를 순환하고 있으며, 임프조직으로 돌아가기도 한다. 면역계의 이러한 특성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임프구를 가지고도 효과적인 면역반응이 가능해 지는 이유가 된다.


2. 항원과 항체


항원은 우리 몸에 들어와 항체를 만들게 하며, 만들어진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특정한 항원에 의하여 만들어진 항체는 그 항원과는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항원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항원이 다른 세포나 단백질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항원과 항체의 결합을 살펴보면, 항체는 항원과 통째로 결합하지 않고 항원의 일부분에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항원에 있는 항체의 결합 부위를 항원결정부위 (antigenic determinant, epitope)라고 부른다. 크기가 큰 항원들은 항체가 결합할 수 있는 지역이 여러 군데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여러 가지의 항체와 결합할 수가 있다. 그러나 분자의 크기가 작은 항원의 경우는 항원결정부위가 적기 때문에 하나 또는 소수의 항체와 결합할 수도 있다. 원칙적으로 단백질이든 화학약품이든 거의 모든 물질이 항원이 될 수 있어서 그것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질 수 있지만, 모든 항원이 언제나 스스로 항체 생산 유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분자량이 큰 단백질, 탄수화물, 핵산 등으로 구성된 항원은 스스로 항체 생산을 유도할 수 있지만, 분자량 5000달톤이하의 작은 분자들은 그 스스로 항체의 생산을 유도하지 못한다. 이러한 분자들을 합텐 (hapten)이라고 하는 데, 이들도 운반자 (carrier)라고 부르는 단백질과 결합되었을 때에는 합텐에 대한 항체 생산을 유도할 수 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9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면역

파일이름 : 면역_106281.hwp

키워드 : 면역

자료No(pk) : 16041135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보고서 PB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보고서 문서파일 (열기).zip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유통산업과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1. 들어가며 흔히 유통산업을 입지산업이라고 한다....

 
 
 

Kommentare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drafts235.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