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 임용제도의 고찰 다운받기 RB
- drafts235
- 2020년 12월 18일
- 1분 분량
교원 임용제도의 고찰 다운받기
교원 임용제도의 고찰
우리 나라의 교원 양성제도, 특히 중등학교의 양성제도 자체의 문제가 큰 몫을 차지하므로 중등교원 양성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중심으로 양성기관의 난립문제와 중등 교원 임용고사 문제등을 살펴보았습니다. 교원임용제도의고찰
1. 여는 글
2. 무분별한 교원 양성기관의 난립문제
가. 현황
나. 문제점과 개선책
3. 임용제도의 문제
가. 역사
나. 현황
다. 문제점과 개선책
4. 독일의 경우와 비교
5. 맺음말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사범대학 무용론`이 대두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으로 기존의 사범대학을 전문성을 가진 새로운 종합교원양성기관으로 전환하거나 대학원 수준에서 교사양성을 하는 방안 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3. 임용제도의 문제
가. 역사
먼저 국・공립 중등학교의 임용의 역사를 살펴보면 미 군정기에는 `교원신분임용규정`을 만들어 교원의 신분・자격・임용의 기준으로 삼았다. 그 뒤 교원의 면허제를 실시하였고, 교사 신규 채용시 자격시험을 위하여 교원자격검정위원회를 운영하였다. 1948년에 교사자격규정을 공포하고 최초로 초・중등교원에게 자격증을 교부하였다. 1953년, 교육공무원임용법이 제정되어 교육공무원의 인사에 임용시준이 되었다. 1963년 교육공무원 법이 전면 개정되어 교원임용에 있어서 국립, 또는 공립의 사범대학, 기타 양성기관의 졸업자, 또는 수료자를 대통령령이 정하는 비율에 따라 우선 채용해야 한다는 조항이 삽입되었다. 1965년부터는 졸업생들의 임용이 보장되지 않는 사립 사범대학을 대량으로 설치・인가하기 시작하였고, 학생정원의 증원은 계속되어 왔다. 그리고 1991년부터 임용고사라는 제도를 통해 공개전형으로 국・공립학교 교사를 신규 채용하게 되었다. 사립학교의 경우를 살펴보면, 1976년 11월에 사립학교 법을 개정하여 교육감이 관할 구역 내 사립 중・고등학교의 임용권자에게 선발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교원임용희망자에 대하여 학력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1986년에는 각 지역 사립학교연합회의 주관으로 공채를 하기도 하였으나...
[문서정보]
문서분량 : 5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교원 임용제도의 고찰
파일이름 : 교원 임용제도의 고찰.hwp
키워드 : 교원,임용제도의,고찰
자료No(pk) : 16102384
Comentarios